안녕하세요 코캣입니다. 지난포스팅에서는 메모리(램)의 세부 스펙을 보는 방법과 그 역할들, 램을 비교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지난 포스팅의 보충개념으로 램(메모리)의 버전이라고 설명을 드렸었던 DDR이 뭔지, DDR의 개념에 대한 내용과 그 DDR버전에 따른 차이에 대해서 작성해 보려고 합니다. 메모리(램)의 종류, 메모리는 어떻게 변해왔을까? 최근에 대부분 우리가 사용하는 메모리는 DDR4버전의 메모리 입니다. 하지만 이 DDR메모리 이전에도 많은 종류의 메모리가 있었고 계속되는 기술의 발전에 맞추어 현재의 DDR버전의 메모리가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DDR램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그 이전에 사용되었던 램의 종류인 S램과 D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S램은 D램에 비교했을 때 100배..
안녕하세요 코캣입니다. 오늘은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메모리(램)의 세부 스펙을 보는 방법과 그 스펙은 어떤 역할을 가지고 있고 어떻게 비교하는법에 대한 글을 작성해보려 합니다. 램(메모리)이란 CPU가 연산작업을 하는데 필요한 내용이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장치로 주 기억장치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지만 간단하게 램(메모리)라고 명칭을 하는 부품이라고 지난 포스팅에서 설명을 드렸었습니다. 혹 램에 대한 개념을 잘 모르시는 분들은 링크를 통해 이전 글을 보시고 오시는걸 추천드립니다.'램(메모리)이란?'이 램이라는 부품은 컴퓨터에 반드시 필요한 부품 중 하나이며 버전은 물론이고 그 버전에 따라 각각 다른 용량과 규격, 데이터처리 속도 등을 가지고 있습니다. 램(메모리)의 세부 스펙 확인 및 비교 방법 이제 램(메모..
안녕하세요 코캣입니다. 오늘은 컴퓨터의 핵심 부품 중 하나인 램(메모리)에 대한 글을 작성해 볼까 합니다. 램이란 컴퓨터에 장착되어있는 CPU가 연산작업을 하고 그 작업에 필요한 모든 내용이 저장되는 장치로 주기억장치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그 램이 장착되어 있는 부품을 우리는 램카드, 혹은 메모리카드라고 부릅니다. 제가 이전에 다른 부픔들에 대한 포스팅을 했을때 CPU는 인체의 두뇌로, 메인보드는 신경계 혹은 혈관이라고 비유한적이 있었는데요, 이 램은 그 두뇌 안에서 인간의 기억을 저장하는 공간이라고 비유를 할 수 있습니다. 제가 작성한 CPU관련 포스팅을 보시면 두뇌의 역할을 하며 CPU의 캐시메모리가 컴퓨터로 들어오거나 나가는 모든 정보를 기억하는 부품이라고 글을 작성했었는데 지금은 램이 그 역할..
SATA(Serial ATA, 직렬 ATA)란? SATA와 PATA의 차이 안녕하세요 코캣입니다. 오늘은 SATA(사타)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SATA란 Serial ATA(직렬 ATA)의 약자로 인터페이스, 즉 연결방식 이며 우리가 일반적으로 SSD나 HDD, ODD 등을 메인보드에 연결하는데 사용하고 있는 인터페이스 입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병렬 ATA(PATA)의 연결방식은 병렬 구조의 특성으로 인해 핀이 많은, 복잡했던 구조로 설계되었고 그러다 보니 부품의 부피가 커지는 것은 물론이고 많은 숫자의 핀으로 구성이 되어 있기 때문에 핀이 휜다는 등의 외부적인 고장요인은 물론이고 내부적으로는 신호의 누락이나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오류가 발생하는일이 잦았기 때문에 인터페이스 자체의 안정성과 데이터..
메인보드란? 안녕하세요 코캣입니다. 오늘은 컴퓨터 필수 부품인 메인보드가 어떤 부품인지, 그리고 이 메인보드의 세부 스펙과 램카드의 호환에 관한 포스팅을 해보려고 합니다. 메인보드는 마더보드라고도 불리며 지금까지 포스팅 했었던 CPU와 같이 중요한 부품 중 한가지 입니다. 컴퓨터에는 수많은 부품들이 존재하며 이 부품들을 제대로 작동시키려면 이 부품들을 하나로 연결해주는 매개체가 필요합니다. 여기서 이 부품들을 연결시켜주는 회로를 가지고 있고 그 신호를 출력해주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는 부품이 메인보드 입니다. 간단하게 다시 정리해보자면 컴퓨터의 주요 구성 부품들인 램카드나 그래픽카드, CPU, SSD 등을 서로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인체에 비유하자면 신경계나 혈관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메인보..
안녕하세요 코캣입니다. CPU를 구매할때 일반적으로 인텔, AMD 이 두개의 제조사를 두고 고민을 하게 됩니다. 지난 제 글을 보셨다면 이제 코어, 쓰레드, 등 CPU의 세부 요소들에 대해 대부분 이해를 하실텐데 이런 세부 요소들을 보고 비교하고 구매하면 되지 않을까 라고 생각하실수도 있는데 이 두 제조사의 CPU는 세부요소들이 비슷하게 공정되었을 수는 있어도 이 외에 여러가지의 차이점들이 존재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인텔과 AMD의 CPU가 어떻게 다른지, 어떤 장단점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가장 눈에 띄는 대표적인 차이, 소켓 제가 며칠 전 CPU 소켓에 대해서 포스팅 한 적이 있습니다. CPU의 소켓이란? 소켓에 대해서 잘 모르시는 분들은 이 링크를 통해 포스팅을 보실 수 있습니..
CPU의 내장그래픽, GPU와 APU의 개념 안녕하세요 코캣입니다. 오늘은 CPU의 내장그래픽에 관한 내용을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우선 내장그래픽이나 GPU, APU의 개념을 모르시는 분들도 계실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이 도대체 무엇인지 부터 설명을 드리고 포스팅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컴퓨터에서 고사양 게임을 플레이 하거나 화소 높은 작업을 주로 하시는 분들은 외장그래픽카드를 따로 구매해서 장착을 해주실 텐데 게임이나 작업을 많이 하지 않으시고 오직 사무용으로만 컴퓨터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가격대가 나가는 외장 그래픽카드를 따로 장착하지 않으시고 CPU에 내장되어있는 내장그래픽을 그대로 사용하시는 경우도 많습니다. 하지만 중앙처리장치인 CPU에서 어떻게 그래픽 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 것일까요? GPU라..
안녕하세요 코캣입니다. 오늘은 처음 개설한 사용하면 유용한 프로그램들 관련 카테고리의 첫 글입니다. 어떤 프로그램으로 시작을 할까 곰곰히 생각을 해보다 의외로 자신의 컴퓨터 사양을 보는방법에 대해서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알고 그에 관련된 포스팅을 해볼까 합니다. 브랜드 컴퓨터를 구매하거나 조립식 컴퓨터를 직접 조립한 뒤 사용하다 보면 가끔 어떤 부품에 문제가 있는지, 아니면 자신이 어떤 부품을 사용하고 있는지, 어떤 상태인지 등에 대한 정보가 필요할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그 때 프로그램 하나만 있다면 이 모든것을 확인하고 현재 상태에 대해서 알아볼 수 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프로그램을 다운받는법과 사용법, 즉 보는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PU-Z를 다운로드해보자 CPU-Z 다운로..
안녕하세요 코캣입니다. 오늘은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많은 분들이 헷갈려하시고 궁금해하시는 CPU의 새대에 대한 구분과 정리, 명칭 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포스팅들을 보셨다면 CPU의 기본적인 성능에 대해서 이해를 하셨을 것입니다. CPU를 구매하려고 하다보면 I7-6700K, I9-9900K, I7-8700 등 명칭이 존재합니다. 그렇다면 이 명칭은 어떤 방법으로 고성능과 저성능의 부품을 구별하며 어떤 뜻을 가지고 있는지 대중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인텔사의 CPU의 라인업, 성능 등을 어떻게 구분하는지, 그 세부 내용에 대해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인텔 CPU 라인업 CPU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인텔'이라는 제조사, 주변에서 접할 수 있는 대부분의 PC방이나 하다못해 가정집은 인텔사의 ..
안녕하세요 코캣입니다. 오늘은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CPU와 램은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고, 또 CPU와 램을 구입할 때 CPU에 호환이 되는 램과 그 세부 기능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CPU의 코어, 쓰레드, 클럭 등을 알아보았습니다. 하지만 CPU의 스펙을 보시면 이 외에도 많은 요소들이 존재하고 그 중 메모리(램카드)와 관련된 사항들도 존재합니다. 코어나 쓰레드에 비해서 크게 신경을 써야하는 부분은 아니지만 알아두면 자신의 CPU에 딱 맞는 램카드를 장착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오버스펙을 방지하고 비싼 돈을 주고 구매한 컴퓨터의 사양을 온전히 뽑아내지 못하는 상황들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CPU와 램카드의 병목현상 등 이 두가지의 주제만 가지고도 긴 포스팅을 할 수 있지만 지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