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코캣입니다. 오늘 새롭게 제품리뷰라는 카테고리가 추가 되었고 이 카테고리에서는 앞으로 제가 실제로 구입하고 직접 사용해본 제품들의 장착이나 설치 방법부터 시작해서 사용기, 후기 등을 작성해 보려고 합니다. 이 카테고리의 제품 리뷰는 대가를 받거나 제품을 제공받지 않고 제가 직접 구매해서 사용 중인 제품들만 포스팅 할 예정이기 때문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은 솔직한 리뷰를 작성해 드릴 것을 약속드립니다.


존스보(Jonsbo) 램카드 방열판 NC-2 RGB 버전 장착 방법 및 사용기



 존스보(Jonsbo) NC-2는 무엇이고 언제 필요할까?



존스보(Jonsbo) 램카드 방열판 NC-2 RGB 버전 장착 방법 및 사용기

이미치 출처 : Taobao


컴퓨터의 모든 부품들은 사용함에 따라 열이 상승하게 되고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제품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오랜기간 온도를 잡아주지 않고 사용하게 되면 제품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컴퓨터의 주요 부품인 CPU에는 쿨러가 장착되는 것이 기본이고 최근에는 M.2나 그래픽카드, 램카드에도 방열판을 달아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 리뷰할 존스보(Jonsbo)사의 NC-02는 램카드에 장착되는 램 방열판으로 메모리의 열을 낮춰줌과 동시에 LED감성을 느낄 수 있게 해주는 제품입니다.


최근 출시되는 고가의 램카드에는 자체적으로 LED나 방열판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가 많지만 저같은 경우는 삼성사의 램, 시금치램이라고 불리는 멋대가리 없는 초록색 램카드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방열판의 기능보다는 LED감성에 혹해서 제품을 구입하게 되었습니다. 사실 엄청난 고사양의 프로그램 작업을 하거나 게임을 하지 않는 이상 램카드의 방열판은 필요하지 않을 뿐더러 위와 같이 고사양의 작업을 하는 PC에는 애초에 시금치 램이 아닌 방열판이나 LED가 장착 되어있는 고가의 램카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 제품을 고민하시거나 사용하고자 하시는 분들의 대부분 LED 감성때문이라고 생각됩니다.



 존스보(Jonsbo) NC-2 종류



이 존스보사의 NC-2는 2번째 버전이고 이 외에 NC-1, NC-3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자체적인 모양만 봤을때 개인적으로 NC-2버전이 제일 마음에 들었기 때문에 저는 이 제품을 선택했습니다. NC-2는 자체적으로 RGB모델, COLOR모델 이렇게 2가지 방식의 제품으로 나누어 집니다.


존스보(Jonsbo) 램카드 방열판 NC-2 RGB 버전 장착 방법 및 사용기


  • RGB모델 - RGB모델은 메인보드에 12V RGB 헤더가 있고 ASUS사 기준으로 아우라싱크기능이 있는 제품에만 사용할 수 있는 방식이며 메인보드의 12V RGB 헤더에 연결하여 위 이미지와 같이 아우라싱크라는 프로그램으로 LED의 송출 방식과 밝기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제품입니다. RGB헤더의 개념에 대해서 잘 모르시는 분들은 아래 링크를 통해 관련 포스팅을 보고 오시면 좋습니다.

  • COLOR모델 - COLOR모델은 위 12V RGB헤더가 없는 메인보드의 경우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며 메인보드의 sys_fan(쿨러 연결하는 포트)와 연결해 사용할 수 있기는 하지만 정해져 있는 기본 LED 자동 변경 송출 방식만을 지원하며 RGB모델과는 다르게 LED의 송출 방식이나 속도, 밝기, 색상 등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


 존스보(Jonsbo) NC-2 제품 구성 및 장착 방법



제품 장착 방법이나 구성품은 제가 제품을 미리 장착해 버린 관계로 이미지를 첨부할 수는 없지만 글로써 최대한 자세하게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구매한 제품은 존스보(Jonsbo) NC-2 RGB버전입니다. COLOR버전도 마지막 메인보드에 장착하는 방법만 다를 뿐이지 기본적인 방법은 동일하니 차근 차근 따라오시면 됩니다.


존스보(Jonsbo) 램카드 방열판 NC-2 RGB 버전 장착 방법 및 사용기

이미치 출처 : Taobao


제품구성입니다. 우선 기본적으로 램 방열판과 그 방열판을 고정할 수 있는 육각나사, 육각렌치가 들어있고(이미지를 taobao에서 가져왔기 때문에 제품 구성이 중국어로 작성되어 있어서 제가 한글로 바꿔 놓았습니다.) 서멀패드2개, 마지막으로 우레탄 패드가 들어있습니다.


존스보(Jonsbo) 램카드 방열판 NC-2 RGB 버전 장착 방법 및 사용기


이제 방열판을 장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자신의 메모리가 단면 메모리칩인지 양면 메모리 칩인지 알아봐야 합니다. 메모리칩은 램카드에 장착되어 있는 검은색 사각형 칩으로 위 이미지를 보시면 됩니다. 양면 메모리 칩은 램카드의 양면에 모두 메모리 칩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이고 단면 메모리칩은 램카드의 한쪽면에만 메모리 칩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입니다.


존스보(Jonsbo) 램카드 방열판 NC-2 RGB 버전 장착 방법 및 사용기

이미치 출처 : Taobao


우선 방열판의 한쪽면(위 이미지와 똑같이 생긴 면) 하단에 위 이미지와 같이 서멀패드 1장을 부착해 주시면 됩니다.


존스보(Jonsbo) 램카드 방열판 NC-2 RGB 버전 장착 방법 및 사용기

이미치 출처 : Taobao


다음 면입니다. 다음면은 위 이미지와 같이 생겼습니다. 여기서 자신의 램의 종류에 따라 남은 서멀패드 1장을 붙이느냐, 우레탄 패드를 붙이느냐가 나뉘어 집니다. 만약 자신의 램이 단면메모리 칩인 경우에는 우레탄패드를 붙이시면 되고 양면 메모리칩인 경우에는 남은 서멀패드 1장을 붙여 주시면 됩니다.


양쪽 면 모두 서멀패드나 우레탄패드를 붙이셨다면 이제 램카드를 사이에 끼우고 나사로 결합시켜주시면 됩니다. 램카드의 메모리칩 부분이 서멀패드에 위치하게 한 뒤 동봉된 육각나사와 렌치를 이용해 단단하게 결속시켜 주세요. 양면 메모리칩은 상관 없지만 단면메모리칩이신 분들은 메모리칩이 반드시 서멀패드와 붙어야 합니다. 간혹 우레탄패드쪽에 메모리칩을 맞대는 분들도 계신데 서멀패드가 열을 낮춰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반드시 서멀패드와 메모리칩이 맞닿아 있는지 확인 후 결합해 주세요.


존스보(Jonsbo) 램카드 방열판 NC-2 RGB 버전 장착 방법 및 사용기

이미치 출처 : Taobao


결합이 완료 되면 위 이미지와 같은 모습일 것입니다. 이제 NC-2를 컴퓨터와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포스팅을 보시는 분들은 몇개의 램카드를 사용하시고 몇개의 방열판을 장착하시는지 모르겠지만 저는 4개를 구매했기 때문에 제 기준으로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존스보(Jonsbo) 램카드 방열판 NC-2 RGB 버전 장착 방법 및 사용기

이미치 출처 : Taobao


방열판에는 위 이미지와 같이 2개의 포트가 있습니다. 제일 먼저 방열판 장착이 완료된 1번 램카드를 메인보드에 장착하신 뒤 A포트를 메인보드의 12V헤더와 연결해 주세요. 그럼 B포트가 남게 됩니다. 2번 램카드를 메인보드에 장착하신 다음에 1번 램카드의 B포트와 2번램카드의 A포트와 연결 해 주시면 됩니다. 그럼 자연스럽게 2번 램카드의 B포트가 남게 되고 3번 램카드를 장착하신 뒤 같은 방법으로 2번램카드의 B포트와 3번 램카드의 A포트를 연결해 주시면 됩니다. 같은 방법으로 4번 램카드 까지 장착 해주신 뒤 마지막으로 남는 4번 램카드의 B포트는 잘 정리 해 주시면 됩니다. 이 상호 연결이 제대로 장착 되어야 모든 방열판에서 LED가 송출되게 됩니다.


 사용기


존스보(Jonsbo) 램카드 방열판 NC-2 RGB 버전 장착 방법 및 사용기


방열판과 LED가 장착되어있는 비싼 램카드를 구매해서 감성을 느끼는 것에 비해 비교적 낮은 가격으로 LED감성과 방열판을 동시에 얻을 수 있다는 게 정말 큰 메리트인 것 같습니다. LED는 정말 만족하고 있습니다. 컴퓨터에 LED 방열판이 하나 추가되었을 뿐인데 작게는 본체에서부터 크게는 방 전체 인테리어에도 큰 영향을 주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 제품이 정말 램 온도를 낮춰주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램 온도는 CPU나 그래픽카드와는 조금 다르게 램카드 자체에 온도체크 기능이 장착되어 있는 제품이여야지만 램 자체 온도를 확인할 수 있고 삼성 시금치램에는 슬프게도 그 기능이 탑재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실제로 방열이 되나, 온도가 낮춰지나는 확인할 방법이 없지만 개인적으로 LED 감성 하나만 보고서도 NC-2는 충분히 고려해 볼 만한 제품인 것 같습니다.


블로그 이미지

무는슬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