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코캣입니다. 오늘은 인텔사의 10세대 CPU를 탑재할 수 있는 메인보드인 Z490에 대한 스펙을 간단하게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사실 10세대 CPU를 탑재할 수 있는 메인보드의 라인은 몇가지가 있지만 저는 오늘 Z490칩셋의 메인보드의 스펙에 대해 작성해 보려고 합니다. 또 Z490메인보드 역시 여러 제조사에서 각각 다른 모델명을 가지고 출시를 하고 있지만 저는 MSI라는 제조사의 'Z490 토마호크'라는 제품을 기준으로 두고 스펙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MSI MAG Z490 토마호크 스펙 간단 정리
MSI Z490 토마호크의 기본스펙은 우선 위와 같습니다. 이제 하나씩 파헤쳐 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정식적인 모델명은 'MSI MAG Z490 토마호크' 이며 인텔의 CPU를 탑재할 수 있는 제품으로 분류됩니다. 지난포스팅에서 한번 설명드린적 있듯이 CPU는 인텔, AMD 두가지의 소켓으로 구분이 되기 때문에 메인보드를 고르실때는 반드시 제품분류를 확인하시고 자신의 CPU에 맞는 메인보드를 고르셔야 합니다.
기본적인 스펙들
- CPU 소켓 - CPU소켓이란 메인보드에 CPU를 장착할 때 만나는 접촉부분을 의미합니다. Z490의 경우에는 소켓 1200의 CPU와 호환이 되는 것을 알 수 있고 이 1200은 칩의 갯수를 나타냅니다. 만약 Z490메인보드를 사용하지만 CPU 소켓의 종류가 1151, 혹은 1151v2라면 서로 장착할 수 없습니다. 소켓에 관한 포스팅은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 세부칩셋 - 인텔사에서 10세대 CPU인 코멧레이크CPU가 출시되는 동시에 이 10세대 CPU와 호환이 되는 메인보드들 역시 출시가 되었습니다. 공식적으로 지금 알아보고 있는 Z490과 H470, B460, H410의 칩셋 모델들이 있으며 나열된 순서대로 성능이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Z490이 최 상위 칩셋 모델) 이 칩셋 들 중 가장 큰 차이점은 Z490칩셋은 오버클럭을 지원한다는 부분이고 그 이외에도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숫자나 USB포트 등 칩셋의 성능 별로 크고 작은 차이가 존재 합니다.
- 폼팩터 - 어려운 용어 같지만 그저 메인보드의 규격입니다. Z490보드는 가장 일반적인 규격의 ATX규격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ATX이외에도 마이크로ATX, 미니ATX 등 여러가지 규격이 존재합니다. 케이스를 고르기 전 메인보드의 폼팩터를 체크한 뒤 고르시는게 좋습니다.
메모리 관련 스펙
기타 스펙들
- M.2 슬롯 - M.2란 간단하게 설명드리자면 기존의 SSD보다 성능을 크게 향상시킨 버전의 SSD입니다. M.2에 관한 내용은 추후에 따로 포스팅 할 예정입니다. Z490보드는 2개의 M.2슬롯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 SATA포트 - 3.0버전의 SATA포트가 6개 탑재되어 있습니다. SATA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보실 수 있습니다.
- RGB 헤더와 ARGB 헤더 - RGB헤더와 ARGB는 컴퓨터 내부에 장착하는 팬, 쿨러, 램카드 방열판, 그래픽카드 지지대 등에 LED 튜닝작업을 할때 필요한 헤더 입니다. 헤더의 종류별로 튜닝 방법이나 LED의 발광 방법 등이 차이가 있습니다. RGB와 ARGB 모두 2개씩 탑재되어 있다고 합니다.
추가로 탑재되어 있는 스펙
M.2 쉴드 프로져 - 위 이미지와 같이 M.2 SSD의 위에 장착되는 방열판입니다. SSD의 열로인한 속도 저하를 개선시키기 위한 방열판이 보드 자체에 탑재되어 있습니다.
수냉 쿨링 최적화 - Z490보드는 10세대의 CPU와 호환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10세대의 CPU를 사용하게 되며 고성능의 CPU는 기본적으로 탑재되어있는 기본 쿨러로는 발열을 해소하는게 부족할 수 있기 때문에 수냉 방식의 쿨러를 장착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Z490보드는 이런 커스텀 수냉식 쿨러에 대한 최적화가 되어있기 때문에 좋은 호환성을 자랑한다고 합니다.
옵테인 메모리 - 원래 조립식 컴퓨터의 정석이 SSD 1개에 큰 용량의 HDD1개를 탑재하는 것이며 최근에는 SSD 대신 M.2를 탑재하고 HDD 대신 SSD를 탑재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Z490의 옵테인 메모리는 탑재되어 있는 HDD의 속도를 SSD와 버금가는 속도로 개선시켜주는 기능입니다.